용어의 정의 적도의의 drift alignment 과정에서 사용하는 관측대상의 방향을 s ^ \hat s s ^ , 천구의 북극의 방향을 p ^ \hat p p ^ , 적도의의 극축이 가리키는 방향을 t ^ \hat t t ^ 라 하자. s ^ , p ^ , t ^ \hat s, \hat p, \hat t s ^ , p ^ , t ^ 는 모두 단위벡터이다. 이때 관측대상의 진행 방향이 적도의의 이동 방향과 각도 φ \varphi φ 만큼 차이가 났다고 하자. 또 s ^ \hat s s ^ 와 p ^ \hat p p ^ 사이의 각도를 θ p \theta_p θ p , s ^ \hat s s ^ 와 t ^ \hat t t ^ 사이의 각도를 θ t \theta_t θ t , p ^ \hat p p ^ 와 t ^ \hat t t ^ 사이의 각도를 ψ \psi ψ 라 하자. 단 φ , θ p , θ t , ψ \varphi, \theta_p, \theta_t, \psi φ , θ p , θ t , ψ 는 [ 0 , π ] [0, \pi] [ 0 , π ] 에 속한다고 하자. 이때 φ \varphi φ 로부터 ψ \psi ψ 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다.
φ \varphi φ 와 ψ \psi ψ 간의 관계관측대상의 진행 방향 및 적도의의 이동 방향이 각각 s ^ × p ^ \hat s\times \hat p s ^ × p ^ 및 s ^ × t ^ \hat s\times \hat t s ^ × t ^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.
( s ^ × p ^ ) ⋅ ( s ^ × t ^ ) = ∣ s ^ × p ^ ∣ ∣ s ^ × t ^ ∣ cos φ = sin θ p sin θ t cos φ . \begin{aligned}
(\hat s\times \hat p)\cdot (\hat s\times \hat t)
&= |\hat s\times \hat p| |\hat s\times \hat t|\cos\varphi \\
&= \sin\theta_p \sin\theta_t \cos\varphi.
\end{aligned} ( s ^ × p ^ ) ⋅ ( s ^ × t ^ ) = ∣ s ^ × p ^ ∣ ∣ s ^ × t ^ ∣ cos φ = sin θ p sin θ t cos φ . 이때 스칼라 사중적 (scalar quadruple product)의 공식에 의하여, 유클리드 공간의 임의의 3차원 벡터 a ⃗ , b ⃗ , c ⃗ , d ⃗ \vec a, \vec b, \vec c, \vec d a , b , c , d 에 대하여
( a ⃗ × b ⃗ ) ⋅ ( c ⃗ × d ⃗ ) = ( a ⃗ ⋅ c ⃗ ) ( b ⃗ ⋅ d ⃗ ) − ( a ⃗ ⋅ d ⃗ ) ( b ⃗ ⋅ c ⃗ ) (\vec a\times \vec b)\cdot(\vec c\times \vec d) = (\vec a\cdot \vec c)(\vec b\cdot \vec d) - (\vec a\cdot \vec d)(\vec b\cdot \vec c) ( a × b ) ⋅ ( c × d ) = ( a ⋅ c ) ( b ⋅ d ) − ( a ⋅ d ) ( b ⋅ c ) 이므로
( s ^ × p ^ ) ⋅ ( s ^ × t ^ ) = ( s ^ ⋅ s ^ ) ( p ^ ⋅ t ^ ) − ( s ^ ⋅ t ^ ) ( p ^ ⋅ s ^ ) = cos ψ − cos θ p cos θ t \begin{aligned}
(\hat s\times \hat p)\cdot (\hat s\times \hat t)
&= (\hat s\cdot \hat s)(\hat p\cdot \hat t) - (\hat s\cdot \hat t)(\hat p\cdot \hat s) \\
&= \cos\psi - \cos\theta_p \cos\theta_t
\end{aligned} ( s ^ × p ^ ) ⋅ ( s ^ × t ^ ) = ( s ^ ⋅ s ^ ) ( p ^ ⋅ t ^ ) − ( s ^ ⋅ t ^ ) ( p ^ ⋅ s ^ ) = cos ψ − cos θ p cos θ t 이다. 즉
cos ψ = sin θ p sin θ t cos φ + cos θ p cos θ t \cos\psi = \sin\theta_p\sin\theta_t\cos\varphi + \cos\theta_p\cos\theta_t cos ψ = sin θ p sin θ t cos φ + cos θ p cos θ t 를 얻는다.
관측대상이 천구의 적도에 있는 경우 관측대상이 천구의 적도에 있다면 θ p = π / 2 \theta_p = \pi/2 θ p = π / 2 이므로
cos ψ = sin θ t cos φ \cos\psi = \sin\theta_t\cos\varphi cos ψ = sin θ t cos φ 인데, ψ < π / 2 \psi < \pi/2 ψ < π / 2 일 때 cos φ > 0 \cos\varphi > 0 cos φ > 0 이므로 sin θ t cos φ ≤ cos φ \sin\theta_t\cos\varphi\leq\cos\varphi sin θ t cos φ ≤ cos φ 이다. 그러므로 ψ ≥ φ \psi\geq\varphi ψ ≥ φ 가 되며, 즉 적도의가 90도 이상 틀어져 있지 않을 때 적도의가 틀어져 있는 각도는 관측대상이 틀어지는 각도보다 크거나 같다.
이때 구면 상에서의 삼각부등식(triangle inequality )을 생각해 보면 0 ≤ ∣ θ t − π / 2 ∣ ≤ ψ 0\leq |\theta_t-\pi/2|\leq\psi 0 ≤ ∣ θ t − π / 2 ∣ ≤ ψ 이며 극단적인 경우들을 생각해 보면 다음과 같다.
θ t = π / 2 ± ψ \theta_t = \pi/2\pm\psi θ t = π / 2 ± ψ 인 경우이는 별의 위치가 적도의가 틀어진 방향과 나란한 경우이다. 이때 ψ < π / 2 \psi < \pi/2 ψ < π / 2 이면 cos φ = 1 \cos\varphi = 1 cos φ = 1 이므로 φ = 0 \varphi = 0 φ = 0 이 되어 별이 틀어지지 않는다. 이는 고도(altitude)가 틀어진 것을 정남쪽 적도면의 대상을 보고 알 수 없다는 뜻이다.
θ t = π / 2 \theta_t = \pi/2 θ t = π / 2 인 경우이는 별의 위치가 적도의가 틀어진 방향과 맞지 않는 경우이다. 이때 cos ψ = cos φ \cos\psi = \cos\varphi cos ψ = cos φ 이므로 ψ = φ \psi = \varphi ψ = φ 이다. 즉 별이 틀어지는 만큼 적도의가 틀어져 있다.